Quantcast
Channel: 시스코 코리아 블로그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018

올림픽 속 과학기술, 어떻게 받아들일까?!

$
0
0

 

 

과학기술이 스포츠와 만났을 때...!

 

 

인류 역사 상 오늘날처럼 '기술 의존적'인 때가 또 있었을까요?

스마트폰, 태블릿 없는 일상은 도무지 상상할 수조차 없으니 말입니다. 

 

실제로 이들 첨단 기기의 혜택은 이제 일상 생활 영역을 넘어 '스포츠 세계'로까지 널리 확장되고 있는데요. 

소치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몇 가지 예시들을 함께 살펴 보는 것도 꽤 의미가 있을 듯 합니다. ^^

 

 

• 미국의 내셔널 풋볼 리그(NFL) 쿼터백들은 경기장 밖 코치들로부터

경기 운영을 어떻게 해나갈지 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헬멧 내부에 스피커와 마이크를 갖추고 있답니다.

 

 

풋볼 헬멧 뒷면인데요. 노란색 줄무늬 한 가운데

녹색 스티커로 스피커와 마이크가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아메리카컵(America’s Cup)' 요트대회 레이싱팀들은

보트 선체를 정교하게 다듬어 더 빠른 기록을 내기 위해

엄청난 금액을 투자하고 있답니다.

 

 

그런데 이 시점에서 혹시,"더 뛰어난 성적을 낸다는 건 좋은 일이지만...

쩐지 기분이 찜찜해. 왜 반칙을 하는 느낌이 들지?!"라고 생각하실 지도 모르겠습니다. ^^;;

 

기술 차이가 곧 성적 차이로 이어진다면, 이는 공정한 행위라 할 수 있을까요?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할 여력이 되는 '부유한' 선수들이

그럴 수 없는 '빈곤한' 선수들에 비해 경쟁 우위를 차지한다면요?

반면 모든 이들이 기술을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져갈 수 있다면, 아무 문제가 없을까요? 

스포츠에서의 기술 영향력, 과연 어디까지 선을 그어야 합당할까요?

 

결코 답하기 쉽지 않은 질문들인데요. 이번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활용되고 있는

스포츠 과학 기술 사례들을 아래에서 살펴보시면서, 함께 고민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메가 봅슬레드 데이터 콜렉터(Omega Bobsled Data Collector):
 

 


스위스 시계 업체 오메가(Omega)는 올림픽용 봅슬레드 앞 부분에 장착하는

측정 장치를 설계했습니다. 이 장치에는 스피드와 각속도(velocity angles)를

측정하기 위한 스피드 센서, 3D 가속 센서, 3D 자이로 센서가 갖춰져 있죠.

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코치와 선수들은 주행 시간 및 전략을 최적화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들을 논의할 수 있답니다.

 

 

아이스 스케이팅 센서(Ice Skating Sensors): 
 
동작을 감지해 3D 그래픽으로 변환해주는 동작 감지 기술이 장착된

센서를 선수의 몸에 감으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훨씬 더 효과적인 스케이팅 기술 분석이 가능해져 궁극적으로

 

선수의 점프 기술, 스핀 습득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답니다.

 

 

 

 

 

크로스 컨트리 스키 시뮬레이터(Cross Country Ski Simulator):
 

실내에서도 스키를 타는 훈련을 할 수 있다면 얼마나 편리할까요?

그렇게 된다면 스키장이 마련돼 있지 않은 국가나, 지역에서도

스키 연습이 가능할 테고요!

 

러닝머신처럼 생긴 이 기계는 크로스 컨트리 스키 시뮬레이터인데요.

어려운 스키 코스를 돌아다니는 경험을 매우 유사하게 재현하도록 설계되었답니다.

그리고 이 기계에는 신체의 움직임뿐 아니라 맥박, 혈압, 호흡, 체온 등 신체 활력징후까지

모두 기록하는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가 연결되어 있어 선수들의 역량 분석,

개선점 제안 등에도 아주 효과적이랍니다.

 


 

 

 

훈련 애플리케이션:
 
'어버센스 코치(Ubersense Coach)'는 슬로모션 비디오 분석을 통해

선수의 경기력을 향상시켜 주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봅슬레드 선수들이

자주 활용한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선수의 움직임을 기록해 이를 슈퍼 슬로 모션으로

잘게 나눌 수 있죠. 그리고 다른 선수들의 데이터와 해당 선수의 데이터를 나란히 놓고

기술 비교 등을 할 수 있어 퍽 유용하답니다.

 

'코치스 아이(Coach’s Eye)'역시 비디오 분석 애플리케이션인데요. 

프리스타일 모글 스키 선수들이 주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연습 시 선수가 한 번 점프를 한 후 트레이너가 그 즉시 점프 영상을 분석,

개선점이나 조언할 점을 바로바로 선수에게 말해줄 수 있죠.

 

 

 

 

그리고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스포츠 과학 기술이

이번 동계올림픽에서 활용되었다고 합니다~~


 
올림픽 웨어:선수가 경기를 하지 않고 쉬고 있는 동안 근육의 온기를 유지시켜 줍니다.

 

눈동자 추적 고글:스노보드 선수들은 이제 두 개의 카메라가 달린

눈동자 추적 고글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두 카메라 중 하나는 고글 착용자의 눈을,

다른 하나는 보드 트랙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합니다.

 

마하 49 스피드 스케이팅복: 록히드마틴사가 만든 이 새로운 스킨 수트는

스케이터에 대한 항력을 낮추도록 설계되었습니다.
 
BMW의 봅슬레드 썰매:미국 봅슬레드 팀의 썰매를 BMW사가

새로이 제작했는데요. 이 썰매는 기존 썰매보다 폭이 더 좁고 매끈한데다

탄소 섬유로 싸여 있답니다.

 

• 스카이 테크스포츠 소치 시뮬레이터(Sky TechSport Sochi Simulator):

이 장치는 GPS를 사용해 소치의 산악 지형을 그대로 본뜬 디지털 환경을 만듭니다.

심지어 실제 바람 조건, 진동, 관성 효과까지도 재현해낼 수 있다는 군요~

이를 이용하면, 스노보드 선수들은 스스로 지형을 익히고 비틀기와 회전을 연습할 수 있답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경기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과학기술 외에도,

주목할 만한 ICT 기술들이 있다는데요.  

 

자메이카 봅슬레드팀은 이번 동계올림픽 참가를 위한 이동 경비를 모금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를 적극 활용했다고 합니다.

 

미국 NBC TV 제작팀은 이번 올림픽 촬영 영상을 전세계 시청자들에게

원활히 전달하고자 시스코 비디오스케이프(Videoscape)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한편 시스코는 오는 2016년 리우 올림픽에도 스폰서로 참여해

또 다시 주요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1912년 남자 100m 달리기 우승자 도널드 리핀코트의 기록은 10초6입니다.

2009년 우승자 우사인 볼트의 기록은 9초58이고요.

즉, 스포츠 기록은 매번 갱신되고 있는 것입니다.

 

어떻게 매번 갱신되는 게 가능할까요?

100년 사이 영양 공급이 잘 돼 선수들의 다리 길이가 길어지거나

근육량이 증가한 영향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운동화나 달리기 트랙의 발전,

보다 정교해진 트레이닝 분석 기술, 스포츠 의학 등 과학기술 역시 

이 같은 기록 단축에 큰 기여를 했을 것입니다.

 

즉, 과학기술이 경기 성적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에 얼핏 드는 "반감"과는 달리,

이미 그 역사가 유구하다는 얘기가 되겠지요. 위에서 소개한 소치 동계올림픽 속

눈부신 과학기술 사례들도 같은 맥락이라 볼 수 있겠고요.

 

그런데 이런 방향이 과연 옳은 것일까요? 아니면 지금이라도 제재를 해야 하는

것일까요? 혹은 이를 적극 육성하고 지원하는 게 더 현명할까요? 함께 고민해 볼 문제입니다. ^^

 

 

 

 

이 글은 시스코 마케팅 부문 디지털 부사장 마크 욜튼(Mark Yolton)의 원문 Digital Technology and the Olympics: When Is it Cheating?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 조건 변경 허락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reative Commons License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018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