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018

[후니의 1분 정보] 하나인듯, 하나아닌, 하나같은 스위치 - 1편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오늘은 스위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이야기를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뭐 다 이렇진 않지만 대충 위에 비싼 코어 스위치가 있고 아래는 엑세스 스위치라고 불리는 조금 싼 스위치가 있을 겁니다. 아시는 것처럼 코어스위치는 카타리스트 6500 이나 카타리스트 6800 이 있구요..(가끔은 카타리스트 4500도 들어갑니다..그리고..여기서는 넥서스 스위치는 제외하고 설명 드리겠습니다). 엑세스 스위치 2960 이나 3650/3560/3750/3850 정도의 스위치가 있을 겁니다.(물론 이거 말고도 다른 모델이 있지만..여기선 대충..이정도만..)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자 그럼 스위치로 네트워크를 꾸며 볼까요? ^^

 

그림에서 보시는 것처럼 위에 코어 스위치 두 대를 놓고 아래는 엑세스 스위치 여러 대를 연결 해줬습니다. 오른쪽 엑세스 스위치 그림처럼 스태킹이 가능한 스위치도 있겠죠? ^^

 

그리고 코어스위치는 서로 여러 개(그림에선 2개죠?)의 링크로 연결하고, 아래에 있는 엑세스 스위치도 팔 벌려 두 개의 코어 스위치로 연결해서 장애에 대비 하는 모습입니다.

 

이게 아마 가장 일반적인 스위치 구성일겁니다 ^^대충 스위치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고 하면.. 크게 벗어나질 않죠 ㅎ

 

하지만 이런 구성에서는 종종 문제가 발생하곤 합니다.

어떤 문제가 있을 수 있는지 볼까요?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일단 그림에서 보시는 것처럼 아래 있는 엑세스 스위치가 양팔을 벌려 두 대의 코어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지만, 사실 녹색 링크만 살아있고, 빨강색 링크는 끊어져 있게 됩니다. (원리가 궁금하신다면 스패닝트리 알고리즘을 공부해보시면 도움이 될겁니다^^)

 

암튼 원래 L2 스위치 특성상 “같은 목적지로 가는 길이 여러 개 있을 경우 한 개만 남기고 다 끊는다” 라는 규칙 때문에 그림처럼 녹색으로만 통신이 가능하다..라고 생각하심 됩니다.
 
어차피 통신도 못할걸 왜 연결 했냐구요??

그건 지금 살아있는 녹색이 끊어졌을 때를 대비하는 겁니다.

 

일단 녹색이 끊어지면 ..빨강색 링크가 살아나면서 통신을 계속하게 되는데..이를 위해 이렇게 양팔 벌린 구성을 해두는 겁니다. 하지만 빨강색 링크는 바로 살아나는 게 아니고 약 30~50초까지 걸리기 떄문에.. 이걸장애 대비라고 볼 수는없겠죠? 
 
그럼 시스코에선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그건 다음시간에 ^ ^

 

 

- 후니의 1분정보 (진강훈 시스코 SE 매니저,'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저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저작자 표시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비영리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동일 조건 변경 허락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018

Trending Articles